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서울 성동구청장에 도전하는 강맹훈 국민의힘 후보가 지역에 ‘구글 유치’를 공약해 눈길을 끌었다.
뒤늦게 강 후보의 공약을 파악한 구글코리아는 “본사와 논의한 바도, 검토한 바도 없다”며 가능성을 일축했다.
앞서 강 후보는 “성수동 삼표레미콘 부지에 구글 R&D센터를 유치해 동북아 IT거점으로 만들겠다”며 “구글 입장에서도 가장 이상적인 입지”라고 주장했다.
25일 구글코리아에 따르면 현재 구글이 국내에서 운영 중인 공간은 서울 역삼동의 구글코리아 본사 사무실과 서울 대치동의 ‘캠퍼스서울’, 이 2곳뿐이다.
구글코리아 관계자는 강 후보의 공약에 대해 “현재 운영 중인 2곳이 옮길 일도 없고, 새로운 건물이 국내에 당분간 들어올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처럼 대기업 유치 공약은 선거철 ‘단골손님’이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전국을 가리지 않고 나오고 있다.
경기도지사에 도전하는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는 반도체공장을 유치하겠다고 밝혔고, 김동근 국민의힘 의정부시장 후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유치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강원도지사 선거에 나선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현대자동차 미래사업부와 삼성전자 스마트헬스케어사업부, 현대로템 등을 강원도에 데려오겠다고 공언했다. 그와 경쟁하는 김진태 국민의힘 후보는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을 유치하겠다며 맞불을 놨다.
하지만 정작 기업들은 공약을 내건 후보와 해당 사안에 대해 논의한 바가 없어 난감해할 때가 많다. 게다가 사실확인이나 공식답변이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말을 아껴야 한다.
근거나 실현 가능성이 없는 ‘유세용 공약’은 지역민을 기만하는 행위이자, 동시에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