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람들조차 잘 알지 못하는 사적이 있다. 5세기, 신라가 건축한 삼년산성이다.
충청북도 보은군 오정산에 있는 삼년산성은 성을 쌓는 데 3년이 걸려서 이름이 삼년산성이다.
그만큼 빨리 지은 데다, 겉보기에도 그냥 일반적인 산성 같아 보인다.
이런 삼년산성의 공식적으로 기록된 전적은 무려 149승 1패다.
백제와 고구려 모두 삼년산성 앞에서는 맥을 못 췄다. 고려 태조 왕건 또한 삼년산성을 빼앗으려다 크게 패한 바 있다.
딱 한 번, 신라 귀족이었던 김헌창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삼년산성을 거점으로 삼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했다.
삼년산성이 어떻게 함락됐는지 전해지는 기록이 없어 미스터리로 남았다.
이게 대단한 미스터리일 정도냐 하면, 그렇다.
삼년산성에는 동서남북에 각각 하나씩, 성문 총 4개가 있었다.
서문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깎아지른 듯한 낭떠러지 위에 일부러 가느다랗게 놓은 길을 따라 올라가야 했다.
길 바로 옆에는 성벽이 쭉 이어진다. 서문까지 행군을 하노라면, 성벽 위의 군사들이 화살로 환영(?)하는 구조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서문을 부수고 어찌어찌 안으로 진입한다고 해도 문 바로 앞에 큰 연못이 자리 잡고 있었다.
뛰어들어가다가 연못에 빠져 죽거나, 서문 위와 연못 양옆, 건너편 공격에 당하기 십상이었다.
동문으로 들어오려면 미로같이 생긴 Z자 구조의 성벽을 굽이굽이 돌아서 들어가야 했다. 이 과정에서 성벽 위 공격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남문으로 들어가려면 아예 최소 5미터 이상의 사다리를 놓아야 하는, 창문처럼 높은데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구조 덕분에 삼년산성은 149승 1패, 세상에 둘도 없는 승률을 자랑하는 지옥의 요새로 역사에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