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세계 각국이 원자력 발전소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7일(현지시각)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글을 올려 “각 국가들은 원자력 발전을 늘려야 한다”며 “원전 ... 8월 29, 2022
  •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오염수를 방류하기 위한 해저 터널 공사가 이르면 4일 시작된다.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이 후쿠시마현과 오쿠마마치·후바타마치 등 관련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오염수 방류에 필요한 설비 ... 8월 4, 2022
  • 최악의 미세먼지로 한반도가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원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방사능오염 문제는 대기오염과 차원이 다른 얘기다. 현재 중국은 원자로 44기를 가동하고 13기를 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30년까지 100기 이상을 가동해 현재 전력의 3%쯤인 원자력 비율을 2030년 10%대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그런데 문제는 원전의 특성상 많은 냉각수(바닷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중국 원전 대부분이 한국과 인접한 중국 동해안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이에 중국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즉각적이다. 중국 원전에서 방사선 유출 사고가 나면 편서풍과 해류를 타고 방사선 오염 물질이 한반도에 유입된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중국 장쑤성 톈완(田灣) 원전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편서풍을 타고 빠르면 3일 안에 방사성물질이 한반도 상공에 도달한다. 장쑤성과 서울은 거리가 약 970㎞이며 중국이 산둥반도 동쪽 끝에 짓고 있는 스다오완 원전은 인천까지 직선거리가 330㎞에 불과하다. 중국원전의 방사능누출사고는 자연재해와 안전시설 미비 및 조작실수에서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과거 아시아 해역에서 발생한 대형 지진해일(쓰나미)과 중국 대륙을 가로지르는 활성단층에서 발생하는 지진 그리고 백두산 화산폭발 등이 위험요소다. 지진해일의 경우 지금까지 중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았지만 중국해안에 밀집한 원전안전을 우려할 만하다. 내륙지진의 경우 2008년 쓰촨성 대지진 때 8만6000명이 사망했고 2013년에도 같은 곳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사람의 실수로 인한 사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지난 2009년에는 중국의 3대 원전건설사업기관의 하나인 중국핵공업집단공사(CNNC) 사장이 부패로 투옥된 사건으로 전 세계는 중국원전의 안전설비에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설비를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국산화 하려고 하는 과정에서 증기발생이나 밸프, 펌프 같은 핵심장비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과정을 충분히 거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중국 정부의 폐쇄성도 주변국의 의구심을 부채질한다. 과거 광둥성 다야완(大亞彎) 원전에서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했지만 중국 정부는 한 달여 동안 외부에 알리지 않다가 뒤늦게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발전소 바깥으로 방사능이 유출되지 않은 경미한 규모의 사고”라고 주장했지만 사고 자체를 감추려 했다는 국제사회의 비난과 함께 원전 운영의 투명성을 의심받았다. 2016년에는 중국 정부가 이례적으로 원전 오조작에 따른 운행 이상 사례 16건을 확인했다며 문제의 원전 이름을 공개했다. 이 가운데 푸젠(福建) 닝더(寧德) 원전에서 발생한 것만 5건으로 파악됐다. 여기에는 닝더 원전 직원이 실수로 배기굴뚝 벨브를 잘못 열어 방사선의 일종인 베타(β)선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만든 사건, 광섬유케이블을 플러그를 잘못 뽑아서 컴퓨터 시스템과 원전통제시스템의 연결이 중단되게 만든 사건 등이 포함됐다. 중국의 핵안전국은 문제를 일으킨 원전들이 이런 사고를 교훈으로 삼고 안전분야를 강화하며 재발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중국은 원전 사업에 거침없는 행보를 보여주며 2030년까지 세계 1위 원전 대국으로 부상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1월 22,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