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은행연합회 ‘7월 예대금리차 공시자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 중 신한은행의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7월 ‘금리정보 공시제도 개선방안’을 통해 은행들에 매달 예대금리차를 공개하라고 지시했다.
7월분에 대한 첫 공시 결과, 가계대출만 놓고 봤을 땐 신한은행이 1.62%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은 1.4%p, KB국민은행 1.38%p, 하나은행 1.04%p였다.
대출 종류별로 보면, 주담대 이자가 제일 싼 은행은 국민, 제일 비싼 곳은 우리로 0.5% 포인트 차이였다.
신용대출은 제일 싼 곳이 하나, 비싼 곳은 신한으로, 0.6% 포인트 가깝게 차이 났다.
지방은행 중에는 전북은행이 4.59%포인트로 가장 컸다. 다만 햇살론뱅크, 햇살론유스 등 서민금융대출의 비중이 높았던 탓에 예대금리차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토스뱅크 예대금리차는 5.60%포인트에 달했다. 수신금리가 1%에 그친 반면 대출금리는 평균 6.6%에 육박했다.
같은 방식으로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2%대였지만 1%대인 시중은행에 비해선 높게 나왔다.
인터넷은행들은 신용대출 위주로 대출을 구성한 까닭에 주택 관련 대출이 있는 시중은행보다 높을 수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금융당국은 이번 비교공시가 경쟁을 촉진해 실질적 대출금리 인하 효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실효성에 의문의 목소리도 있다.
은행들이 ‘눈치보기’를 통해 예대금리차를 일정 수준으로 맞출 수 있고, 또 예금 이자를 올리면 조달 비용이 늘면서 대출 금리도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번에 19개 은행이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공시한 예대금리 차는 평균 대출 금리에서 저축성 수신금리를 뺀 수치다.
이 차이가 클수록 금융소비자들이 은행들에 더 많은 수익을 안겨준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