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달리는 시내버스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 승객을 버스 운전기사가 심폐소생술로 구한 사실이 화제가 됐다.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적절하게 실시하는 응급조치는 그 이후에 가해지는 어떠한 치료보다 더욱 큰 결정적인 영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또 한번의 사례였다.
응급상황은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곳이 바로 어린 영유아를 돌보는 가정이다.
영유아는 먹을 수 없는 물건도 무조건 삼키려고 하는 특성이 있어 보호자가 항상 지켜봐야 한다.
영유아는 보호자가 잠시 한눈을 파는 사이에 자그마한 물건이나 음식, 동그란 물체를 삼켜 기도가 막힐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기도폐쇄가 2세 때 가장 자주 일어나며 9세까지도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기도가 막히면 3~4분 내에 의식을 잃고 4~6분이 지나면 목숨을 잃거나 뇌사상태에 빠지므로 신속한 대응이 필수적이다.
기도폐쇄가 의심될 때 시행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조치는 우선 아이에게 기침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이가 기침을 하지 못하고 얼굴이 파랗게 변한다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하임리히 요법(복부 밀치기법)’을 해야 한다.
하임리히 요법은 아이의 뒤에서 한쪽 주먹을 배꼽과 명치 사이에 놓고, 다른 손으로 감아쥔 뒤 힘껏 환자의 흉부 쪽으로 밀치는 방법이다.
만약 대상이 1세 이하의 영하라면, 아기를 엎드리게 하고 시행해야 한다.
이때 머리가 가슴보다 아래로 향하게 한 후, 아기의 등 가운데를 5차례 세게 두드리면 된다.
다시 아이를 뒤집어 양쪽 젖꼭지를 이은 선의 바로 아래 지점을 두 손가락을 올려 5회 압박한다.
하임리히 요법은 어디까지나 응급조치다. 아이의 복부에 강한 압박을 가하는 과정에서 장기손상이 가해질 수도 있다. 조치 후에는 병원에서 장기손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한편, 하임리히 요법을 창안해 수많은 인명을 구한 헨리 하임리히 박사는 천수를 누리다 지난 2016년 12월 별세했다. 향년 96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