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아동·청소년들이 지난해 하루 평균 44분 동안 게임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디어에 많이 노출되는 가정일수록 자녀들의 이용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청소년연구원의 ‘부모와 자녀의 미디어 이용, 그리고 미디어 이용제한’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동·청소년의 하루 평균 게임 이용 시간은 44분으로 전년의 33분에 비해 33.3%나 급증했다.
그다음으로 아버지는 하루 평균 17분 동안 게임을 즐겼고, 어머니는 하루에 9분 동안 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은 어머니가 147분으로 가장 많았고, 아버지 144분, 아동·청소년 106분 순이었다.
가정 내 TV 이용 시간도 어머니가 하루 평균 232분으로 가장 많았고, 아버지 158분, 아동·청소년 119분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5천여 가구의 만 6세 이상 1만2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한국미디어 패널조사 결과를 활용했다.
하형석 부연구위원은 “부모의 미디어 이용은 직간접적으로 자녀에게 영향을 준다”면서 “TV와 스마트폰, 게임 모두 부모의 이용 시간이 길수록 자녀 이용 시간도 많아졌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