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절반 이상이 결혼해서 애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계출산율은 5년 연속 최저치를 기록했고, 혼인 건수는 3년 연속 역대 최저를 기록 중이다. 이에 저출생 현상이 갈수록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는 ‘나라경제 5월호’에서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 분석 및 연구’ 등을 인용해 ‘우리 시대 가족’의 모습을 전했다.
이에 따르면 결혼 후 아이를 갖지 않은 것에 동의하는 20대 비율은 2015년 29.1%에서 2020년 52.4%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 세대의 동의 비율이 21.3%에서 28.3%로 7.0% 증가한 것에 비해 상당히 큰 폭이다.
결혼 후 출산이 필요가 아닌 선택의 문제라는 인식의 변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양육에 대한 경제적 어려움도 배경으로 꼽힌다.
한국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아이를 낳아 18세까지 기르는 데 드는 비용의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미국의 투자은행인 제퍼리스 금융그룹(JEF)이 베이징의 유와인구연구소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자녀를 18세까지 기르는 데 드는 비용은 2013년 기준 1인당 GDP의 7.79배였다.
이에 저출생 현상이 갈수록 심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전년 대비 0.03명 감소한 0.81명으로 5년 연속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돌고 있다.
게다가 혼인 건수도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전년 대비 9.8% 감소한 19만3천 건이었다.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후 3년 연속 역대 최저를 기록 중이다. 다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많은 예비 부부들이 결혼을 미룬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 분석 및 연구’에 따르면 비혼 독신에 동의하는 20대 비율은 2015년 37.0%에서 2020년 52.9%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