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장한 30대 남성이 5시간 동안 화장실에 갇혀 사투를 벌이다 화장실 문밖 6m 거리에 놓여 있던 휴대폰 인공지능(AI)의 도움을 받아 기적적으로 생환했다는 사연이 화제다.
1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 중심가의 한 반지하 원룸에 사는 A씨는 지난 5일 오후 7시께 일과를 마치고 씻기 위해 화장실로 들어갔다가 갑자기 문이 잠기는 바람에 화장실에 갇히고 만다.
문을 열어보려 했으나 출입문이 워낙 튼튼해 키 170cm, 몸무게 102kg의 A씨가 무슨 짓을 해도 열 수 없었다. 반지하인 터라 창문도 없었다.
세면대 옆 쇠 파이프를 떼어내 문짝 손잡이 옆을 3시간 이상 긁어대며 구멍을 내려 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고, 힘들게 천장을 뚫어봤지만, 이마저도 소용없었다고 한다.

“살려달라”는 괴성을 지르며 5시간 가까이 발버둥을 치다가 결국 체력이 고갈된 A씨는 자포자기 상태였다. 하지만 그 순간 방안의 책상 위에 놓아두었던 휴대폰의 음성인식 AI가 떠올랐다.
같은 날 오후 11시 42분 처음 휴대폰 AI를 향해 말을 걸었으나 응답이 없었지만, 몇 차례 시도 끝에 3분 뒤부터 AI가 A씨의 목소리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하이 빅스비, 긴급전화”를 외쳤지만, 인식을 못 해 전남 목포에 거주 중인 아버지와 어머니의 전화번호를 불러줬더니 차례로 연결해줬다고 한다. 늦은 시각 아들의 전화를 받고 깬 부모는 다른 말 없이 “119”를 연신 외치는 아들에 놀라 경찰과 119에 신고했다.
이후 경찰과 소방은 AI에 도움을 요청한 지 30여분 만인 6일 오전 0시 17분 그를 구조했다.

A씨는 “휴대폰 AI가 없었다면 경찰과 소방서도 연락이 안 되고 아마 지금까지 갇혀 있었을 것이다. 휴대폰 덕에 살아 고맙게 생각한다”라며 “어느 곳을 가든지 휴대폰을 꼭 챙기고 퇴로를 확보해야 함을 절감했다. 6일 있었던 자격증 시험에도 간신히 참석했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천장에 통로를 만들기 위해 오랜 시간 팔을 위로 드느라 탈출 이후에도 5일 동안 팔을 못 움직였다”라며 “쇠 파이프로 문에 구멍을 내려다 손바닥은 살점이 패일 정도의 찰과상을 입고 깨진 유리 조각이 발에 박히기도 했다. 화장실 문짝과 천장 등 부서진 집기는 집주인이 전부 수리해주기로 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