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청년층 5명 중 1명은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며 우리 사회의 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86세대’가 청년이었던 1990년대 실시한 같은 내용의 조사 때보다 2.5배나 높았다.
28일 한국행정연구원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사회전환을 위한 과제 연구’(연구책임자 박준)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조사기관 ‘월드 밸류 서베이’의 7차 조사(2016~2020년, 1,200명 대상)에서 한국의 16~24세 청년중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20.8%였다.
전 세계 120개국의 연구 기관들이 참여하는 월드 밸류 서베이는 1990년부터 5년마다 각 나라의 가치관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과거 2차 조사(1990~1994년)에서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라고 응답한 한국 청년들의 비율은 8.4%였다.
사회 공정성에 대한 청년층의 부정적인 인식이 28년 사이 2.48배나 높아진 셈이다.
같은 기간, 전체 조사 국가 청년층의 평균 답변율이 2차 때 16%에서 7차 때 14.7%로 하락한 것과 대조된다.
다만 7차 조사와 달리 2차 조사에서는 29세 이하가 청년으로 분류됐다.
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응답한 한국 청년들의 비율은 미국, 일본 멕시코, 스웨덴 등보다 높았다. 특히 중국 청년들의 응답 비율은 35%(2차 조사)에서 10%(7차 조사)로 대폭 줄었다.
한국은 전체 연령대에서도 이런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는 추세다.
전체 연령에 대해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는 응답 비율은 2차 조사 때 9.5%였던 것이 7차 조사에서 14.1%로 높아졌다.
해당 보고서는 “불평등하고 불공정한 사회 구조적 문제에서 기인하긴 하지만 신뢰의 문제와도 매우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우리 사회의 불공정성 문제를 제도적 보완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국민적 믿음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제도를 개선할 것인가의 문제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