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이 7400㎞ 떨어진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에 따르면 이수형 박사 연구팀은 튀르키예 본진(규모 7.8)과 여진(규모 7.5) 이후 국내 지하수 관측정 두 곳(문경·강릉)에서 큰 폭의 지하수 수위 변화를 감지했다.
문경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지하수 수위가 7㎝ 상승했고, 여진 때는 3㎝ 하강했다. 강릉 관측정에서는 본진 후 지하수 수위가 3㎝ 상승했다.
지진이 나면 지진파에 의해 지하수가 있는 대수층 주변의 암석들에 압력이 가해진다. 대수층은 점토 등으로 채워져 있어 지하수 이동이 어렵기에, 압력에 의해 지하수 수위가 상승 또는 하강하기 쉽다.
앞서 2021년 9300㎞ 떨어진 뉴질랜드에서 규모 7.8 강진이 발생했을 때, 2010년 인도네시아 강진(규모 7.7), 2011년 동일본 대지진(규모 9.0) 당시에도 국내 지하수 수위 변화가 관측됐다.
이수형 박사는 “이번 관측 연구를 통해 강진이 발생하면 수천㎞ 떨어진 곳에서도 지각의 흔들림뿐만 아니라 지하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라며 “국내외에서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면 국내 지하수의 불규칙적인 유출과 유입으로 땅 속 환경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 깊게 봐야 한다”라고 밝혔다.
지질연구원 이평구 원장은 “지진은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다학제적 지진기술을 적용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비가 가능하다”면서 “지진의 탐지와 고지진 분석, 지표지질탐사, 지하수 수위 변화 등 연구원의 지진대비 기술을 통해 안전한 한국을 만들어나가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