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연구진이 암 치료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암세포를 죽이는 게 아니라,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방식으로 발상을 전환한 것.
당뇨,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으로 암을 관리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이 대장암 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항암치료는 ‘화학 요법’으로, 암세포를 공격해 증식을 억제하는 원리다.
하지만 정상 세포까지 함께 사멸시켜 탈모, 골수 기능장애 등 부작용이 뒤따른다.
이에 연구팀은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변환하는 치료 전략을 고안했다. 암 치료의 통념을 깨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었다.
연구팀은 대장암세포의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를 분석해,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바꾸는 핵심 유전인자를 탐구했다.
그 결과, 후성유전학적 조절인자 ‘SETDB1’이 암세포가 정상 세포로 바뀌지 못하게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즉, ‘SETDB1’을 조절하면 암세포를 다시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약 10년간의 연구 끝에 실험실 단위에서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데에 성공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항암치료의 부작용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조광현 교수는 “이제 암도 당뇨,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치료의 서막을 열었다”고 밝혔다.
지난달 머니투데이의 보도에 따르면, 현재 연구팀은 해당 기술을 검증하는 임상시험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