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는 ‘구름’을 만들며 온난화 늦추려고 혼자 노력하고 있었다

By 김우성

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지구는 계속 ‘구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국내 연구진이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지난달 30일 극지연구소 박기태 박사 연구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지구온난화로 늘어난 북극의 미세조류가 구름 생성에 기여해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에너지를 차단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녹아내리는 빙하. 지구 온난화로 전 세계 빙하의 녹는 속도가 빨라져 급격한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 연합뉴스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식물로, 강이나 바다에 산다. 대기 중 산소의 50%를 생산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하면서 디메틸황(DMS)이라는 가스 상태의 황 성분을 만들어내는데, 지구온난화로 북극 바다 얼음이 녹으면서 미세조류가 늘고, 더불어 디메틸황 방출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 디메틸황이 구름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확인된 것이다.

북극 미세조류가 내뿜는 디메틸황이 대기 중 구름응결핵으로 성장해 구름을 형성하는 과정 모식도. /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노르웨이 니알슨과학기지촌의 제플린지구대기감시소에서 공기 중 디메틸황의 농도 변화를 관측했고, 또 디메틸황이 구름을 형성하는 과정을 정밀하게 파악했다.

그 결과 디메틸황이 산화반응하고 나면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한 입자로 변한 뒤 ‘구름 응결핵'(구름씨)으로 자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름 응결핵이 되어 주변의 수증기 등 다른 대기물질을 잡아당겨 구름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지구온난화로 늘어난 미세조류가 내뿜는 가스가 구름을 형성해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온난화를 늦추는 구실을 한다는 사실이 처음 증명됐다. 북극 노르웨이령 스발바르제도에 위치한 뉘올레순과학기지촌(파란 원)에 있는 한국 다산과학기지 연구팀과 노르웨이 제플린지구대기감시소(빨간 원) 연구팀 등이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 극지연구소

지구온난화로 늘어난 극지방 디메틸황이 역으로 지구온난화를 늦출 수 있다는 가설은 이미 35년 전에 나왔다.

하지만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지구는 수십억 년 동안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빙하기와 간빙기를 겪으면서 스스로 자정작용을 해왔다”면서 “디메틸황의 역할도 이런 자정작용의 하나임을 증명한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글로벌 바이오 지오케미컬 사이클즈'(Global Bio-geochemical Cycles) 6월 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