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지구는 계속 ‘구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국내 연구진이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지난달 30일 극지연구소 박기태 박사 연구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지구온난화로 늘어난 북극의 미세조류가 구름 생성에 기여해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에너지를 차단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식물로, 강이나 바다에 산다. 대기 중 산소의 50%를 생산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하면서 디메틸황(DMS)이라는 가스 상태의 황 성분을 만들어내는데, 지구온난화로 북극 바다 얼음이 녹으면서 미세조류가 늘고, 더불어 디메틸황 방출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 디메틸황이 구름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확인된 것이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노르웨이 니알슨과학기지촌의 제플린지구대기감시소에서 공기 중 디메틸황의 농도 변화를 관측했고, 또 디메틸황이 구름을 형성하는 과정을 정밀하게 파악했다.
그 결과 디메틸황이 산화반응하고 나면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한 입자로 변한 뒤 ‘구름 응결핵'(구름씨)으로 자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름 응결핵이 되어 주변의 수증기 등 다른 대기물질을 잡아당겨 구름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지구온난화로 늘어난 극지방 디메틸황이 역으로 지구온난화를 늦출 수 있다는 가설은 이미 35년 전에 나왔다.
하지만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지구는 수십억 년 동안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빙하기와 간빙기를 겪으면서 스스로 자정작용을 해왔다”면서 “디메틸황의 역할도 이런 자정작용의 하나임을 증명한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글로벌 바이오 지오케미컬 사이클즈'(Global Bio-geochemical Cycles) 6월 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