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임시영안소에서 맥박 뛰는 이송자 발견, 뒤늦게 심폐소생술 시도

By 이현주

이태원 참사 당일 당국은 이태원역 근처 한 건물에 임시영안소를 차리고 시신들을 안치했다.

그런데 이곳으로 옮겨진 사람 중 뒤늦게 맥박이 확인돼 급히 심폐소생술(CPR)을 한 사례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SBS 뉴스

22일 SBS 뉴스는 지난 10월 30일 0시 15분께 현장에 출동한 소방대원들의 보디캠 영상 일부를 공개했다.

영상에는 참사 현장 바로 옆 상가 1층 공실에 차려진 임시영안소에서 한 소방대원이 다급히 심폐소생술을 하는 모습이 담겼다.

현장을 지휘하던 한 소방대원은 “지금 있어? 맥박?”이라고 물었고, 심폐소생술을 시도하던 소방대원은 “아까 맥박이 한 번 뛰었거든요”라고 답했다.

SBS 뉴스
SBS 뉴스

이후 “뛰었어?”라고 다시 묻자, 해당 소방대원은 “네, 혹시나 해서”라고 말했다.

질문을 이어가던 소방대원은 “그럼 (심폐소생술) 해. 여기다 조명등 하나 더 밝혀야 하는 거 아냐? 큰 거로 해서”라고 말했다.

영상대로라면 생존자가 사망하지 않은 상태로 시신들과 함께 임시 안치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극도의 혼란 속에서 생존자 구조, 분류, 이송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SBS 뉴스

그러나 소방청은 이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라고 밝혔다.

소방청에 따르면 영상 속의 이송자는 재난 의료지원팀(DMAT)이 지연환자(사망 판정)로 분류한 뒤 현장 안치하던 사망자였다.

용산소방서 소속 구조대원이 사망자를 임시영안소로 옮겨 바닥에 내려놓는 순간, 동료 대원의 숨소리를 사망자 숨소리로 혼동해 심폐소생술을 실시했다는 게 소방청의 설명이다.

소방청은 맥박 또한 측정 과정에서 구조대원 본인의 맥박을 느낀 것을 오인했다고 밝혔다.

SBS 뉴스

이후 구급대원에게 심전도 리듬을 측정하게 했고, 측정 결과 무수축(리듬 없음)으로 확인돼 심폐소생술을 중단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부도 참사 직후 응급의료 대응에 문제가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