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1일에는 5년 만에 ‘슈퍼 블루문’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다음번 슈퍼 블루문은 14년 후에나 볼 수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립과천과학관은 5년 만에 찾아온 슈퍼 블루문 특별관측회를 31일 연다고 20일 밝혔다.

지구와 달의 거리가 가장 가까워져 크게 보이는 보름달은 ‘슈퍼문‘,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은 ‘블루문‘이라고 한다.
달은 2년 8개월마다 보름달이 한 달에 한 번 더 뜨게 된다. 이 경우 한 계절에 보름달이 4번 뜨게 되는데, 이때 3번째 뜨는 보름달이 블루문이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이다. 가장 최근은 5년 전인 2018년 1월 31일이었고, 다음은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서양에서는 블루문을 불길하다고 여겨 배신한다는 뜻의 옛말인 ‘블루(belewe)’를 이름에 붙였다고 전해진다. 이후에 같은 발음에 푸른색을 의미하는 ‘블루(blue)’로 와전됐다고 한다.
과천과학관은 31일 오후 7시 30분 ‘슈퍼 블루문의 모든 것’을 주제로 강연하는 등 강연과 관측, 체험 행사를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