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신안군의 이미지는 염전 노예라는 오명으로 얼룩져 있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 강력한 인권기본조례를 만들고 보라색 컬러 마케팅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염전 노예’ 사건은 잊을 만하면 반복해서 터지고 있다.
24일 SBS 뉴스는 지난해 말 전남 신안군에 있는 한 염전에서 노동자 A씨가 탈출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이 염전은 지난해 10월 7년간 노동력 착취를 당했다며 탈출해 이를 폭로했던 박영근 씨가 있던 곳이었다.
박씨와 같이 일하던 이들은 대부분 갈 곳 없는 이들이거나 장애인이었다.
직업소개소 관계자들은 지하철이나 거리에서 이런 사람들을 끌고 와 염전에 취업시키는 것.
전남 목포의 직업소개소 관계자는 “(무허가 업자들이) 여관에 데려다 놓고 용지만 받아다 계약서를 쓴다”라며 “아마 또 사건이 여러 번 크게 일어날 거다”라고 말했다.
박씨가 탈출한 염전의 동료들은 여전히 염전 주인의 편을 들며 노동력 착취를 부인했다.
박씨 탈출 당시 경찰 조사에 참석한 장애인 인권단체 활동가는 이들에 대해 “누군가의 강요에 의해 입력된 진술을 하는 모습을 보여 ‘진술 오염’이 의심된다”는 의견을 제출했다.
이후 박씨가 일하던 염전 주인이 구속된 후 또 다른 동료노동자 A씨가 추가로 탈출한 것이 확인됐다.
A씨는 장애인 기관의 보호를 받고서야 “도망가면 잡아오고 따귀를 때렸다” “사장이 말하지 말라고, 입닥치라고 했다” “전에 일하던 염전에선 사람이 많이 죽었다”라며 피해를 털어놨다.
장애인 인권 단체 측은 박씨 폭로 직후 이뤄진 경찰 조사가 노동자와 염전 주인을 제대로 분리하지 않은 채 진행됐고, 박씨 동료들에 대한 장애 검사도 소극적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염전 노동자들이 사건이 정의로운 방법으로 해결될 것이라는 믿음이 없는 상태였다고 덧붙였다.
염전 주인이 구속될 당시 염전노동자 명의로 대출을 받거나 신용카드를 부정하게 사용한 혐의만 적용됐다.
장애인 인권단체 측은 A씨의 피해 사실을 폭로하고 염전 주인을 추가로 고발하기로 했다.
한편 ‘신안 염전노예 사건’은 지난 2014년 2월 신안군의 한 염전에서 10년 동안 강제 노역을 하던 지적장애인 2명이 경찰에 의해 구출된 사건이다.
신안군에서는 그동안 100명 넘는 장애인들이 수년에 걸쳐 노동력을 착취당한 것이 세상에 알려져 큰 파문을 불러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