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로 생활고를 겪던 노숙인이 동네 약사님의 도움으로 새 삶을 살게 됐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지난해 뉴스를 통해 알려진 서울 종로구 창신동 약사님의 미담이 재조명됐다.
주인공은 바로 창신동 골목 모퉁이에서 35년 동안 약국을 운영한 최윤혜 씨.
2021년 봄, 최씨는 약국 창문 너머로 분주히 움직이는 50대의 노숙인 남성을 발견했다.
이 남성은 이른 아침부터 밤까지 리어카를 끌고 골목을 오가며 부지런히 폐지와 박스를 모았다.
어떻게든 혼자 힘으로 살아가려는 남성의 마음이 너무 예뻤고, 최씨는 그에게 어떻게든 도움을 주고 싶었다.
남성은 55살이지만 9살 수준의 지능에 귀도 잘 안 들리는 최재만 씨였다.
서울역에서 노숙하다 창신동으로 온 재만 씨는 주소지가 용산구로 돼 있어, 창신동 주민센터에서 지원받을 수가 없는 상황이었다.
최씨는 쪽방촌을 운영하는 사장님에게 부탁해 월세 25만 원짜리 방부터 구했고, 전입신고부터 해줬다.
재만 씨가 창신동 주민이 되자, 월세 25만원과 생필품이 나오기 시작했다.
최씨는 재만 씨가 지원금을 받을 통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그가 한 통신사 대리점에서 사기를 당한 사실을 알게 됐다.
결합상품이 13개나 가입돼 사용료가 5백만 원 넘게 밀렸는데, 경찰이 직접 고소장을 써줘 150만 원은 돌려받았다.
무엇보다 가장 큰 장애는 ‘장애인 등록’이었다.
각종 서류를 준비해서 냈지만, 국민연금공단은 선천적인 장애라는 걸 증명할 서류를 보완해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재만 씨는 가족이 없어 과거 자료를 구할 수가 없었다.
최씨는 재만 씨에게 물어물어 일생을 직접 글로 정리했다.
재만 씨는 30살 이전의 기억은 거의 없는 데다 봉제공장과 가방공장을 전전하며 지내다 2006년, 39살쯤 신안염전에 끌려갔다.
당시 염전노예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2년 후 염전에서 풀려날 수 있었다.
이후 군산 등에서 일하다 2020년 2월, 서울역 등에서 노숙하다 창신동으로 들어오게 됐다.
이 자료와 함께 주민센터가 관련 자료를 보충해 제출하고서야 장애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장애 등록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신청한 후 인정받기까지 꼬박 6개월이 걸렸다.
재만 씨처럼 장애를 가지고 있음에도 장애등록을 하지 못해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은 전체의 약 5%, 무려 12만 명이 넘을 걸로 추정된다.
이들은 대부분 절차와 방법을 모르고, 등록과정이 번거로워서 장애등록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미담을 취재하려던 MBC 취재진에게 최씨는 “개인적인 선생으로 알려지는 건 원치 않는다”라며 이 부분을 지적했다고 한다.
보다 적극적인 행정으로 소외되는 이들이 없기를 바란다는 게 그의 부탁이었다.
창신동 주민센터 관계자는 “그나마 (쪽방으로) 들어오셨기 때문에 포착이 될 수 있었다. 약사님을 안 만났으면 힘들었고. 운이라고 말하기에는 조금 슬프지만…”이라고 말했다.
창신동에 자리 잡은 재만 씨는 손을 내밀어 준 최씨 덕분에 이제 ‘박스 사장님’이라는 별명과 함께 폐지와 신문을 챙겨주는 따뜻한 이웃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