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상담기록을 허위로 입력해 지도비를 받고 출석 확인 없이 학생들에게 최고 학점을 준 대학 교수가 징계 불복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부장판사 박정대)는 S대학교 소속 교수 A씨가 대학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최근 원고(대학 교수) 패소로 판결했다.
재판부는 “출석일수는 학점 부여의 중요한 근거가 되는데 원고는 이를 확인하지 않고 수강생 전원에게 A+학점을 부여해 성적평가 지침을 위반했다”며 “교원에게 주어진 본연의 직무를 태만히 해 수강생들의 학습권과 성적평가의 공정성을 크게 훼손한 행위”라고 밝혔다.
또 “원고가 학생지도비를 부정하게 수령한 것은 경우에 따라 형사 범죄를 구성할 정도로 중대한 사안”이라며 “대학의 징계 처분은 그 사유가 인정되고 양정도 재량을 벗어났다고 볼 수 없어 처분에 위법은 없다”고 판시했다.
A교수는 학기 중 학생과 반드시 한 차례 이상 상담해야 하는 상담교과목을 맡고도 학생 상담 없이 기록을 허위 입력해 지도비 400여만원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학원 비대면 수업에선 수업 일수를 충족하지 않고, 학생들에겐 출석 일수 확인 없이 일괄적으로 A+학점을 줬다.
학교는 수강생 항의 민원을 접수해 2021년 11월 A씨에게 지방공무원법 및 고등교육법 시행령 위반, 자체 학사내규와 교원윤리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감봉 3개월 처분을 내렸다.
A씨는 처분에 불복해 즉시 교원소청심사위원회에 소청심사를 청구했지만 기각되자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재판 과정에서 A씨는 일부 과목을 실시하지 않은 점 등을 인정하면서도 부친의 병환이 악화됐고 군 복무 중인 아들이 가혹행위를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해 경황이 없었던 점을 참작해 달라고 호소했다. 또 일부 강의의 경우 학기 중이 아닌 방학 기간을 이용해 강의를 진행했다며 수업을 완수했다고도 주장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A씨의 주장을 모두 기각했다.
재판부는 “개인적인 신변 사정만으로 원고의 상담 실시 의무가 면책된다고 볼 수 없고 일부 과목을 실시하지 못한 사실을 사후에라도 학교에 알리고 대책을 협의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