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이 당대 최고 인재들에게 만들게 한 조선시대 금속활자 152개가 공개됐다

By 김우성

금속활자의 꽃’이라 불리는 갑인자 연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지난달 30일 국립중앙박물관은 1434년 만든 ‘갑인자'(甲寅字)로 추정되는 한자 금속활자 152개를 공개했다.

갑인자는 세종이 이천과 장영실, 글씨를 잘 썼던 수양대군 등 최고의 인재들에게 만들게 한 조선의 세 번째 금속활자다.

아름답고 정교한 데다 인쇄할 때마다 흔들리지 않아 제작자는 ‘조선 만세의 보물’이라고 자부할 정도였다.

정조 때(177년 6번째 주조)까지 300년 넘게 6번이나 다시 주조해 책을 인쇄했다.

일종의 국가 표준 활자였던 것.

1434년에 만든 활자 ‘갑인자'(甲寅字)로 추정되는 한자 금속활자. /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하지만 갑인자는 그간 소장 경로가 불투명해 연구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었다.

송성문 선생이 기증한 세종 때 ‘자치통감’ 속의 글자와 모양이 같았지만, 1931년 조선총독부 박물관이 일본인에게 사들인 것 외에 누가 소장했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다 지난 4월, 故 이건희 회장 유족이 1436년 인쇄된 근사록을 기증하고, 이어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갑인자 추정 활자가 발견되면서 주목받게 됐다.

활자들은 기증된 근사록 속 글자와 일치했고, 인사동 출토 갑인자와도 비슷했다.

성분 분석에서도 구리 함량이 높은 15세기 금속 활자의 특성을 보였다.

김동우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학예관은 “송성문 선생이나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책 중에 갑인자본인 근사록과 자치통감, 석보상절 등으로 인해서 활자하고 글씨를 실제로 비교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갑인자로 추정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