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구진이 생쥐 실험에서 노화의 주요 원인을 새롭게 밝혀내 노화 속도를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아직 동물실험 단계이지만 연구팀은 향후 사람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노화 연구센터 연구팀은 지난 12일 과학저널 ‘셀'(Cell)에서 늙고 눈이 먼 쥐의 시력을 되찾게 하고 뇌를 더 젊게 만드는 한편, 근육과 신장 조직을 더욱 건강하게 하는 등 회춘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를 주도한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는 “이 결과는 노화가 앞뒤로 마음대로 추진될 수 있는 가역적 과정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후생유전학이라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DNA가 몸의 하드웨어라면 유전자들에 무엇을 어디서 언제 해야 하는지 알려줌으로써 유전자의 작동 여부를 지시하는 후생유전자는 소프트웨어라 할 수 있다.
연구팀은 DNA 손상 그 자체가 노화의 원인이라고 봤던 기존 이론과 달리, DNA를 수리하는 단백질의 기능 저하를 노화의 더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흡연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식습관, 만성 수면 부족 등으로 후생유전자의 지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노화가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싱클레어 교수는 “노화가 유전적 돌연변이에 따른 DNA 등의 손상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낡고 오랜 컴퓨터가 소프트웨어 오류를 일으키듯이 세포가 원래의 DNA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잃어버려서 기능을 상실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의 몸은 재생을 촉발할 수 있는 젊음의 백업 복사본을 갖고 있다”라며 세포가 게놈을 다시 정확하게 읽을 수 있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그 과정이 촉발되면, 몸이 재생하는 법을 기억함으로써 이미 늙고 병들었더라도 다시 젊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유전자가 정확히 일치하는 늙은 쌍둥이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DNA가 접히는 방식만 변화시키기 위해 세 가지 유전자를 섞은 칵테일 인자를 한 마리에만 주입해 변화를 살폈다.
그 결과 유전자 칵테일을 주입한 쥐만 털 상태뿐 아니라 뇌와 근육, 신장 조직도 더 젊어졌고, 멀었던 눈도 회복됐다.
DNA 수리 단백질을 활성화하면 다시 젊어질 수 있다는 걸 실제로 증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돌연변이를 일일이 고치는 건 어렵지만, 단백질 활동을 조절하는 건 비교적 간단하다고 설명했다.
또 영장류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 중이라며, 이번 연구 성과가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 등 노화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