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 폐하, 제 자식의 등수를 낮춰주시길 바라옵나이다”

By 이 충민

장정옥(張廷玉)은 청나라 옹정 황제 시절 대학사(大學士)를 지낸 고위 관리였다. 몸은 비록 고위직에 있었지만 겸양의 도리를 잘 알았다. 그는 자식들에게 늘 소박하고 덕을 중시할 것을 요구했으며 자신의 분수에 만족하도록 가르쳤다.

어느날 장정옥의 큰아들 장약애(張若靄)가 조정에서 치르는 시험에 응시하게 됐다. 여러 대신들이 시험답안을 심사한 후 밀봉된 답안지를 옹정제에게 올렸다.

옹정제는 다섯 번째 답안지를 읽다가 “선(善)은 서로 권하고 허물은 바로잡는다면 속임이나 근심이 없어져 반드시 성실하고 신뢰가 있게 될 것이며, 그러면 관리들도 하나가 되고 안과 밖이 하나가 될 것이다”란 문장을 보았다.

이 문장을 본 옹정제는 “자못 고대 신하의 풍격이 있구나”라며 평가하며 3등으로 결정했다. 옹정제는 나중에 밀봉된 봉투를 열어본 후에야 이 문장을 대학사 장정옥의 아들이 쓴 것임을 알았다. 이에 장정옥에게 사람을 보내 기쁜 소식을 미리 알려주었다.

옹정제(Wiki)

그런데 기뻐할 줄 알았던 장정옥이 뜻밖에도 황제를 찾아와 말했다. 그는 자신이 이미 조정의 대신으로 있고 아들은 아직 나이가 어리니 3등으로 급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말했다.

옹정제는 “짐이 아주 공정하게 평가한 것이지 대신의 아들이라 하여 일부러 선발한 것은 아니오”라며 해명했다. 하지만 장정옥은 거듭 간청하며 “천하에 인재는 많고도 많습니다. 3년에 한번 치르는 과거에서 모두들 3등 안에 들기 원합니다. 신이 아직 고위직에 있는데 자식이 또 3등이 된다면 이는 천하의 가난한 선비들보다 앞자리를 차지하는 것으로 진실로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청컨대 자식의 등수를 낮춰주시기 바랍니다.”

장정옥은 또 아들이 어린 나이에 너무 빨리 승진하는 것을 원치 않았으며 대신 각고의 노력을 거쳐 서서히 덕과 복을 쌓은 후에 관직에 진출하는 것이 착실하다고 보았다.

장정옥 초상화(Wiki)

옹정제는 장정옥의 간곡한 청에 어쩔 수 없이 장약애를 4등으로 낮췄다. 옹정제는 얼마 후 과거 결과를 공포함과 동시에 장정옥의 겸양의 미덕을 반포해 천하의 사대부들로 하여금 모두 알도록 했다.

아들 장약애 역시 부친의 뜻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 바람을 저버리지 않았다. 꾸준히 실력을 갈고 닦아 학문에 큰 진전이 있었으며 나중에 남서방(南書房), 군기처(軍機處) 등 요직에 기용됐다. 그는 늘 맡은바 임무를 충실히 하고 겸허하게 처신해 부친의 유풍을 계승했다.

“권력이 있다고 하여 함부로 할 수 없고 복이 있다고 하여 전부 누릴 순 없다.” “충성스럽고 너그러워야 가문이 오래 전해지고 겸손하고 삼가야 후손이 오래 간다.”

이런 것들은 모두 옛사람들의 처세에 있어 금과옥조가 되었으며 또한 자식을 가르치는 중요한 규범들이다. 장정옥 부자는 모두 이런 이치를 잘 알았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힘써 실행한 것이다.